이형훈 보건복지부 보건산업정책국장 - 2022년은 바이오·헬스 산업과 미래 의료 핵심기술 투자로 국민 건강 수호와 대한민국 경제 대도약하는 한 해 될 것
이형훈 보건복지부 보건산업정책국장 - 2022년은 바이오·헬스 산업과 미래 의료 핵심기술 투자로 국민 건강 수호와 대한민국 경제 대도약하는 한 해 될 것
  • 박금현 기자
  • 승인 2022.02.10 17:2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인류의 난제를 해결하는 바이오 기술, 신산업 창출로 글로벌 경제를 열어가는 대한민국

글로벌 바이오헬스 산업 시장 규모는 2019년 2조 달러(2,400조 원)에서 2026년 2.8조 달러(2,800조 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실제 세계 각국 정부는 바이오의약품 시장 선점을 위해 규제 제도 정비에 나섰으며 공격적으로 기술 연구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우리나라의 바이오헬스 산업 시장 규모 또한 그간 대표적 산업군이었던 조선과 철강 산업의 당기순이익을 넘어섰다. 바이오·헬스산업이 국가의 성장 동력으로 떠오르게 된 가장 중요한 배경으로는 인구 고령화와 디지털기술(DT)의 발달을 꼽을 수 있다. 또한 코로나19라는 보건 위기를 맞이하며 바이오산업의 중요성은 더욱 부각되고 있다. 이에 정부는 제약·바이오산업을 전폭 지원할 것을 강조하고 있다. 이형훈 국장은 “보건복지부는 바이오·헬스를 국가 전략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해 중장기 미래 의료 기반이 되는 핵심기술에 선제적으로 투자하고 글로벌 수준의 규제 합리화 및 전후방 생태계 조성으로 활력을 제고하기 위해 노력해 왔습니다. 정부는 바이오헬스 산업을 육성하여 국민의 건강한 삶에 기여하고 대한민국 경제의 대도약을 선도하고자 다양한 정책 지원 및 제도 개선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갈 것입니다”라고 말했다. 

이형훈 보건복지부 보건산업정책국장 / 사진 박성래 기자
이형훈 보건복지부 보건산업정책국장 / 사진 박성래 기자

 

보건산업정책국의 주요 역할과 진행하고 있는 사업에 대해 말씀해주세요.
보건산업 정책은 국민의 생명과 건강 수호라는 근본가치와 의료의 공공적 가치를 지키면서 과학기술의 발전에 따른 의료기술 향상과 보건산업 성장을 통해 궁극적으로 국민의 삶의 질을 높이려는 목표를 갖고 있습니다.
첫 번째로 보건복지부는 보건산업 경쟁력 확대를 위해 ‘19년 5월 22일에 「바이오헬스산업혁신전략」비전·전략 등 청사진을 제시하고, 바이오헬스 핵심규제 개선방안(’20.1월), 의사과학자와 바이오공정인력 한국형NIBRT 육성 등 현장의 수요에 맞춘 인력을 양성합니다. 또한 성장잠재력이 높은 바이오의약품, 의료기기, 재생의료 등 주요 유망분야에 새로운 혁신성장동력으로 집중육성하여 미래 먹거리와 일자리를 창출하고 4차산업혁명 시대의 과학기술 발전에 부응할 수 있는 여건으로써 보건산업 정책 기반을 조성하는데 애쓰고 있습니다.
두 번째로 디지털 대전환(digital transfomation)에 시대적 요구에 맞추어 전자의무기록(EMR) 인증 확대(‘19년 32개소 → ’21년 3,000개소), 진료정보교류 이용 의료기관 확대(‘17년 1,306개소 → ’21년 7,000개소) 등 의료기관의 디지털화를 촉진하는 정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또한, 공공·의료기관에 흩어진 의료정보를 건강정책·연구·산업 등에 활용하고자 국가 바이오 빅데이터 시범사업(‘20년~), 나의 건강기록앱(’21년), 보건의료데이터·인공지능 혁신전략(‘21년)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세 번째로 코로나19 극복을 위해, K-글로벌 백신 허브화 비전 및 전략을 ’21년 8월에 수립하고, 치료제·백신 개발 지원 및 글로벌 협력을 통해 민간의 도전과 투자를 뒷받침하여 ‘K-글로벌 백신 허브’로 도약하도록 적극 지원하고 있습니다.

 

코로나19 백신·치료제 개발을 위한 정부의 노력과 앞으로 지원 및 투자 계획도 궁금합니다. 
정부는 코로나19 발생 초기인 ‘20년 4월 보건복지부장관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을 공동위원장으로, 관계부처 차관과 민간 전문가를 위원으로 하여 코로나19 치료제·백신 개발 범정부지원위원회를 설치하고, 정부와 기업·대학·연구소·병원 등 민간의 역량을 모아 유망 후보물질 발굴 등 전(前)임상부터 임상-생산까지 신약 全단계에 걸쳐 총력 지원을 지속하고 있습니다.  또한 ‘기업 애로사항 해소 지원센터’를 설치하여 치료제‧백신 개발 기업과 밀착 심층상담을 진행하고, 식약처‧질병청 등 관계부처 및 전문가와 함께 ‘범정부 임상시험지원 TF’를 운영하여 개발 기업들의 어려움을 즉시 해소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코로나19 팬데믹의 발생이 장기화되면서 ‘21년 8월에 미래 감염병 위기 대응을 위해서 정부는 ‘글로벌 백신 허브화 비전 및 전략’을 수립하고 국무총리를 위원장으로 하는 추진위원회와 전담조직인 ‘글로벌 백신 허브화 추진단’을 신설하였습니다. 정부는 ‘26년까지 현재 9위인 우리나라 백신 산업 규모를 5위까지 끌어올린다는 전략적 목표를 설정하고 총 2조 2천억 원의 재정투자할 계획입니다.
정부는 ‘22년 상반기까지 ‘국산 1호 백신 상용화’를 목표로, 백신 임상 3상이 신속히 진행될 수 있도록 임상시험 참여자 모집 지원, 해외 임상 지원, 국산 백신 선구매 추진, 국가주도 검체분석 등 집중지원체계를 구축하였습니다. 
한편, 정부는 코로나19 치료제·백신 개발 등을 위해 ‘22년 총 5,457억 원의 예산을 편성하였습니다. 이는 ’21년 예산 4,327억 원 대비 1,130억 원, 26.1%가 증가한 것으로, 분야별로는 비임상‧임상 지원 등 치료제‧백신 개발에 3,210억 원을, 치료제·백신 시험법 등 개발, 실험 시설·장비 구축 등 연구‧생산 인프라 구축에 1,193억 원을, 신속 진단, 지능형 기기 등 차세대 감염병 장비·기기 개발 및 고도화, 국산 방역 물품‧기기의 고도화에 364억 원을, 감염병 관련 핵심기술 개발, 허가 지원을 위한 평가 연구 등 기초연구 강화에 690억 원을 지원할 예정입니다. 범정부지원위원회를 중심으로 정부는 국내 코로나19 치료제‧백신의 개발을 “끝까지, 성공할 때까지” 지원할 계획입니다. 단기적으로 코로나19 국산 백신 및 치료제 개발과 생산설비 확충에 집중하여 지원하는 한편, 백신‧원부자재 기반 기술 확보, 전문인력양성 및 글로벌 백신 협력을 통한 국내기업 해외진출 기반 마련 등 우리나라 백신 산업 전반의 경쟁력을 높일 수 있도록 지속 지원할 계획입니다.


의료산업의 미래인 디지털 헬스케어와 정밀의료를 위해 추진 중인 보건의료정보 및 데이터 정책에 관해 설명 부탁드립니다.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도래와 함께 의료서비스의 패러다임이 공급자·치료 중심에서 환자·예방 중심으로 전환되고 있습니다. 특히 의료데이터의 공유 활용을 통해 의료서비스의 질과 효율성이 향상되고, 의료비 절감 등 의료서비스의 혁신이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정부는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이하여 2020년부터 국가 디지털 전환을 위한 디지털뉴딜 정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4차산업혁명 시대에는 데이터가 가장 중요하고, 이는 보건의료분야에서 더욱 두드러집니다. 
이를 위한 마이헬스웨이 사업은 개인의 건강정보 활용을 지원함으로써 우리나라에서 다양한 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를 활성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국민들이 핸드폰에 ‘나의 건강기록’ 앱을 설치하고 개인 건강정보를 활용하여 스스로 건강을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특히, 노인, 영‧유아 등 건강정보 이해능력이 부족한 취약 계층도 쉽게 건강관리 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는 기반이 만들어질 것입니다. 궁극적으로는 다양한 개인 건강정보를 통합하여 개인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정밀의료서비스 제공으로 국민 건강 증진과 헬스케어 산업 활성화에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보건산업의 발전을 위해서는 보건의료 빅데이터의 활용이 더욱 필요합니다. ‘20년 8월 개인정보보호법·정보통신망법·신용정보법 등 데이터 3법 시행에 발맞춰, 선도적으로 보건의료 데이터 활용 가이드라인을 마련하고 데이터 활용을 지원하기 위한 가명정보 결합 전문기관 3곳을 지정하였습니다. 이와 함께, 임상, 유전체, 일상건강정보(lifelog) 데이터 등을 통합한 국가 바이오 빅데이터 구축을 추진하고, 40여 개 의료데이터 중심병원들이 모두 참여하여 암, 심·뇌혈관, 호흡기 등 주요 질환을 중심으로 임상데이터 네트워크를 마련해 나갈 계획입니다.

이형훈 보건복지부 보건산업정책국장 / 사진 박성래 기자
이형훈 보건복지부 보건산업정책국장 / 사진 박성래 기자

 

첨단 재생의료·바이오 의약품 정책의 정의와 목표와 기대효과는 무엇인가요? 
첨단재생의료 및 첨단바이오의약품 분야는 ’20.8월에 시행된 「첨단재생의료 및 첨단바이오의약품 안전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을 계기로 ‘제1차 첨단재생의료 및 첨단바이오의약품 기본계획’이 수립(‘21.1월)되었고, 세포치료, 유전자치료 등 재생의료 분야의 임상연구에서 제품화에 이르기는 전주기 관리체계가 형성되었습니다. 또한, ’21년 총 34개의 재생의료 실시기관이 지정되었고, 임상연구자 등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하여 총 800여 명이 수료하는 등 안전관리를 제도화했습니다. ‘21년 12월 8일에는 CAR-T치료제를 활용하여 백혈병 치료를 시도하는 제1호 고위험 임상연구 계획이 ’첨단재생의료 및 첨단바이오의약품 심의위원회‘의 적합 심의와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승인을 받았으며, 현재 임상연구가 진행 중입니다.
그동안의 정책이 기본적인 체계를 갖추고 임상연구가 진행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었다면, 앞으로는 우리나라가 미국과 유럽과 같은 선진국 수준의 재생의료 기술력을 확보하고 재생의료 분야 개발의 연속적인 지원체계를 마련하기 위한 범부처 재생의료기술개발사업과 첨단재생의료 임상연구를 지원하며, 혁신적인 치료제가 개발될 수 있도록 연구비 지원 등 각종 지원을 제공할 예정입니다. 그동안의 의료기술로는 치료할 수 없었던 희귀난치질환자들이 새로운 치료제를 통해 완치의 기회를 갖고, 우리나라의 주력 먹거리 산업으로 발전되기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보건산업정책국의 앞으로의 비전과 목표에 대해 말씀 부탁드립니다.
그간 제약산업 육성지원위원회를 운영하며, 제약산업에 관련해서는 범정부적 협력·지원을 하고 있습니다. 지원과정에서 국내 연구진의 우수한 연구역량과 기업의 신약 개발에 대한 적극적인 투자 의지를 확인하였고, 대학, 병원, 벤처기업부터 상장기업까지 열정과 신념을 가지고 신약개발에 도전하고 있었습니다. 정부는 이에 부응하여 다양한 국내 연구를 지원하고 유망한 후보물질이 신약개발로 이어질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필요가 있습니다.
국내 제약·바이오 산업이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지만, 글로벌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6%에 불과합니다. 국내 산업의 한 단계 도약을 위해서는 글로벌 혁신 신약(Blockbuster)의 개발이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 연구개발 지원을 확대하여 다양한 신약후보군(Pipeline)을 확보하고 신약개발을 위한 투자 인프라 및 생태계를 조성해야 합니다.
정부는 국가신약개발 사업을 통해 ‘21년부터 ’30년까지 2.2조 원을 투입하여 유효물질 발굴부터 임상 2상까지 신약개발 전 주기에 걸쳐 다양한 연구과제를 지원할 계획입니다. 국내 신약 후보물질은 ‘18년 100개사 573개에서 ’21년 193개사 1,477개로 최근 3년간 약 3배 증가하였습니다. ‘22년부터 2년 간 총 1조원 규모의 제약바이오 전문 글로벌백신펀드를 조성하여 국내의 우수한 신약후보군이 글로벌 혁신 신약의 개발로 이어지기 위한 투자기반을 조성할 계획입니다. 이와 함께 대규모 임상시험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스마트임상시험 체계를 구축하고 한국형 바이오공정인력양성(NIBRT)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바이오 생산공정 전문인력을 양성하는 등 신약개발 인프라를 확충해 나가겠습니다.

 

월간인물 독자분들에게 전하고 싶은 내용 있으시면 자유롭게 말씀 부탁드립니다.
2009년 팬데믹 인플루엔자 H1N1이 발생하여, 스위스 바젤에 있는 로쉬를 방문하여 치료약 구매 조달 방안을 협의했는데, 부회장 두 분이 물류(logistics)와 국제판매(global marketing)를 담당하는데 모두 의사(MD) 출신이었습니다.  
저는 바이오헬스 강국이 되는데, 다양한 전공의 전문가가 협업하여 융복합 기술을 구현해야 한다는 증거로 기억하고 있고, 정부는 의사-과학자 양성을 위한 다양한 방안을 강구하는 데 믿음을 갖고 있습니다. 병원임상의(MD)와 연구자(Ph.D.)가 임상 현장에 아이디어를 맞춤형 의료기술로 협업 연구 개발하는 사업, 전공의·전문의 등 의료데이터·인공지능 분야에 특화된 융합인재를 융합형 의과학자를 양성하는 사업, 의사에게 자연과학, 공학 등의 연구 활동을 지원하며 융합형 의사-과학자를 양성하는 사업, 그리고 보건의료분야 의과학자 융합연구를 수행하는 의사-과학자를 지원하는 사업 등을 통해 대한민국 우수 인재들이 바이오헬스 분야를 ‘제2의 반도체’로 만드는 데 일조하고 싶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07238 서울 영등포구 국회대로 70길 15-1 RA542 (여의도동14-9, 극동 VIP빌딩 5층) 월간인물
  • 대표전화 : 02-2038-4470
  • 팩스 : 070-8260-0200
  • 청소년보호책임자 : 문채영
  • 회사명 : 월간인물(Monthly People)
  • 대표자 : 박성래
  • 제호 : 월간인물
  • 사업자등록번호 : 227-08-61739
  • 등록번호 : 서울 아 03717
  • 등록일 : 2015년 04월 30일
  • 발행일 : 2015년 04월 14일
  • 발행인 : 박성래
  • 편집인 : 박성래, 남윤실
  • 월간인물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월간인물. All rights reserved.
  •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박성래 02-2038-4470 psr@monthlypeople.com
우수콘텐츠 우수콘텐츠 인터넷신문위원회 ND소프트